디지털 트윈 시범구역의 첫걸음, 지역 문제 혁신을 향한 초석을 다지다
: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 1차년도 결과보고회 개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김창경, 이하 ‘디플정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27일(금)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 1차년도 결과보고회를 개최하였다.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은 개별적으로 구축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시범구역에 연계·집약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한국형 디지털 트윈 기반 서비스 수출 모델을 마련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결과보고회는 지난 4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도심형(부산광역시 컨소시엄) ▲농어촌형(경북도청 컨소시엄) 컨소시엄과 디플정위, 과기정통부, 사업수행기관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한자리에 모여 1차년도 추진 결과를 발표하고 서비스를 시연하며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이다.
도심형 과제의 경우 1차년도 사업은 ‘우리동네 골목 안전 디지털트윈’ 구현을 위해 부산 진구를 대상으로 생활안전, 재난안전, 도시안전과 관련된 시민체감형의 4가지 트윈 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한국국토정보공사(LX) 플랫폼 기반의 통합플랫폼을 구축하였다.
* 우리동네 골목안전, 노약자 보행환경안전, 산사태 취약지분석,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
농어촌형 과제의 경우 1차년도 사업은 ‘지방 어항 관리 서비스’ 구현을 위해 포항 구룡포항부터 호미곶 일대를 대상으로 선박안전, 대기해양 환경 분석 등 어촌 현안 해결을 위한 4가지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자체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 대기오염 트윈환경분석 예측, 해양오염 트윈 환경분석 예측, 트윈으로 지키는 선박 안전, 노후선박 밀도에 따른 환경변화 분석관리
2024년(1차년도)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25~’26년에도 서비스 모델을 추가 개발하고 기존 플랫폼에 연계·집약해 연차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트윈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는 기술”이라며,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을 통해 도시·농어촌의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향후 시범구역이 우리나라의 디지털 트윈 기술·서비스를 보여줄 수 있는 대표적인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밝혔다.
디플정위 플랫폼데이터혁신국 이승현 국장은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은 국내 최고의 디지털 트윈 기술·서비스를 집약하여 국민 수요에 맞춤형으로 대응하고, 복잡·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의 핵심사업으로, 시범구역의 성과가 궁극적으로 디지털 트윈 수출경쟁력 확보 및 AI․데이터 산업 퀀텀 점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