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안전 체계 전환, 올인원 국민안전 플랫폼 구축 제안 : 스마트폰 활용, 각종 위험상황(화재, 교통, 재난, 범죄 등) 실시간 신고(10초 이내) 및 국민 未 인지 위험상황, 국민 상황특성 맞춤형(수면, 운전, 업무 등) 자동안내(10초 이내, 음성 및 화면) 시스템 □ 개요 : 누구나 사용하는 스마트폰, CCTV, IoT단말기 활용 ‘올인원 국민안전 플랫폼(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여 더욱더 신속 정확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국가재난 관리체계" 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안심 안전 대한민국 실현 및 K- 생활안전 시스템 세계화! ◎ 신고(감지) 시 : 각종 위험 상황(화재, 교통, 범죄, 침수, 범람 등) 실시간 신고(10초 이내 접수 완료) 및 관계기관 연계 및 공유(전파)를 통한, 더욱더 신속 정확한 대응 체계(시스템) 구축 ◎ 안내(전파) 시: 未인지 위험상황, 국민 상황특성(수면, 운전, 업무 등) 맞춤형 실시간 자동안내(10초 이내, 음성 & 화면) 통해, 사고 및 피해 예방 골든타임 제공 통한 언제 어디서나 안심 안전 대한민국 실현 ◎ 올인원 국민안전 플랫폼 활용 방안 ○ 스마트폰 : GPS 위치, 궤적, 영역 기반(개인정보보호 정책준수 必) => 위험상황 신고 및 해당 스마트폰만(설정 범위, 주행도로 명, 터널 명, 이동 방향 등 일치) 자동안내 ○ CCTV & 관제센터 모니터 : 신고자 위치기반, 최근접 CCTV 영상 => 관제센터 모니터 자동 현출 ○ IoT단말기 & CCTV : 침수, 범람, 살얼음 등 감지 및 자동신고 및 수요자 맞춤형 자동안내 1. 살얼음(블랙아이스), 지하차도 침수 등 위험상황 감지 시 : IoT단말기가 관련 정보를 관제센터로 자동전송 및 모니터 자동 현출 => 위험지역으로 이동 중인, 운전자 스마트폰 자동안내(도로명, 이동방향 등 일치 시) 2. 하천 범람, 반 지하 침수 등 위험상황 감지 시 : 해당지역(S자, L자, △형, ♡형 등 영역 _ 지오펜스 설정)에 있는 스마트폰만 자동안내 □ 현황 및 문제점 ◎ 긴급재난문자(CBS)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단위로 전파(2021년 스마트폰 보급률 96% ↑) : 안내, 범위(예: 200m)/영역 설정 등 한계 및 주행도로, 이동 방향, 도달 예정거리 별 수요자 맞춤형 자동안내 불가능 => 국민 불편(양치기 소년 化, 본인과 무관한 심야/새벽 시간대 재난문자 경우, 공해문제 발생) ◎ 안전디딤돌, 생활 안전지도, 서울안전 앱, 고속도로교통정보 앱 등 다양한 형태의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앱들이 있으나 해당하는 위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앱을 실행해야 만 하는 수동방식 임. => 수면, 운전, 업무, 휴식 중에는 앱을 실행하지 못해 위험 상황을 인지하지 못 함 ◎ 위험 상황, 국민 상황특성 맞춤형 실시간(30초 이내) 자동안내(전파) 방법 없음 => 위험상황 발생 시, 해당하는 국민에게만 자동안내 함으로써 112, 119 등 현장 도착 前에 국민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골든 타임을 제공 언제 어디서든,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 최소화 및 국민 불편해소 시스템 필요 □ 개선 방안 : 스마트폰(앱) 활용 국민 체감형ㆍ참여형 “올인원 국민안전 플랫폼” 구축을 통한 스마트폰 하나만으로(올인원 생활안전) 각종 위험상황 실시간(30초 이내) 신고 및 상황특성 맞춤형(수면, 운전, 업무 등) 자동안내를 통해 위험지역 내에 있는 국민 또는 위험지역으로 이동하는 국민의 자발적인 대응 및 예방 골든타임 제공 ◎ 주요 서비스 1. : 위치기반(스마트폰 GPS 좌표 기준, 위험 상황 신고 및 자동안내) : 개인별 설정 범위(예: 200m) 이내의 화재, 구조요청 등 위험 상황 자동안내 ○ 신고 시 : 위험유형(화재, 범죄, 구조요청 등) 및 신고자 위치(GPS좌표) 등 10초 이내 관제센터 서버로 자동 전송 ○ 안내 시 : 개인별 설정 범위 내(예: 200m) 위험(화재, 범죄 등) 스마트폰 자동안내(음성 & 화면) ◎ 주요 서비스 2. : 궤적기반(주행도로 명ㆍ터널 명ㆍ이동 방향, 도달예정 거리 등 매칭) : 운전 중 돌발정보(역주행, 의식불명 사고, 터널 내 정차, 고장, 공사 등) 실시간 공유를 통한 교통사고 사전차단 및 탄소배출 감소 ○ 신고 시 : 신고유형, 주행도로 명ㆍ터널 명ㆍ이동 방향, 신고 위치 등 10초 이내 관제센터 서버로 자동 전송 - 자동신고 : 의식불명, 역주행, 터널 내 정차 등 10초 이내 접수 완료 - 수동신고 : 고장, 사고, 정차, 서행, 제보 등 10초 이내 접수 완료 ○ 안내 시 : 주행도로 명ㆍ이동 방향, 도달예정 거리(예: 3km) 등 안내조건이 일치 한 운전자 스마트폰만 자동안내(음성 & 화면) ※ 운전자 궤적정보 서버 未전송, 스마트폰 내에서 정보확인 방식(개인정보보호정책 준수) ◎ 주요 서비스 3. : 영역기반(S자, L자, △형, ♡형 등 영역설정), 자연재난(침수/범람/밀물 등) 발생 시 영역 기준(저지대, 하천, 계곡 등) 스마트폰 자동안내 ○ 감지 시 : IoT 단말기 & CCTV 활용, 자연재난 실시간 위험감지(관제센터 모니터 자동 현출) ○ 안내 시 : 하천, 계곡, 갯벌, 방파제 등 설정된 영역 內에 있는 스마트폰만 자동안내 ※ IoT 단말기 & 스마트폰 & 영역 활용 : 하천, 지하차도 등 위험(범람, 침수 등), 실시간 감지 및 수요자 맞춤형 전파(자동안내) ※ IoT 단말기 & 스마트폰 활용 : 터널 內(정차, 서행 등) 및 블랙아이스 등 위험상황 감지 및 후방 운전자 전파(자동안내) ※ 정부, 지자체, 관계기관, 민간(국민 비서, 방송, 통신, 금융, IT 기업) 등 국민들이 사용하는 모든 앱 사용(연동) 가능 □ 기대 효과 ◎ 누구나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위치, 궤적, 영역 등 활용(개인정보보호 정책준수 必) ◎ 30초 이내, 신고 및 수요자 맞춤형 자동안내 완료 가능 : 위험지역에 위치하거나, 위험지역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스마트폰)에게 맞춤형 자동안내를 통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대응 및 예방 골든타임 제공 ◎ 빅데이터(기지국, 군중 밀집도)와 결합한 수요자 맞춤형 자동안내 시스템 구축 가능 ◎ 긴급재난문자 방식의 문제점 및 한계점 보완이 가능한 국민 상황특성 맞춤형, 올인원 재난 관제 시스템 구축 가능 ◎ 위험 상황(전화, 센서 등 신고 및 감지) 발생(접수) 시, 최근접 CCTV 자동 현출 통한, 더욱더 신속 정확한 대응시스템 구축 가능 ◎ 영상통화를 통한 소방차 오 출동(화재 허위신고 등) 방지 가능 ◎ 터널 내, 블랙아이스(살얼음) 다발지역의 대형참사 사고방지 시스템 구축 가능 ◎ 통합 관제 솔루션 및 IoT 단말기 등 후방산업 활성화 및 K- 생활안전 시스템(올인원 국민안전 플랫폼) 세계화 ◎ 교통사고 예방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
12-15 12저는 28년간 한 직장을 다니고 있습니다 최근 전 까지만 해도 제가 하는 일이 제 천직이려니 하고 스스로를 위안하며 지금껏 살아 왔지만... 이제는 친구인 아내와 장성한 아들딸에 대한 책임감과 욕심을 잠시 내려놓고, 그동안 상상으로만 해본 다양한 일들을 하나하나 직접 체험 해보며 내가 잊고 살았지만 정말 가슴설레고 즐기며, 좋아하고 잘할수 있는 일들을 찾아보며, 살아가실 날이 많이 남지 않으신 부모님을 최 우선에 두고 살아 가렵니다.. 그분들이 키워내신 아들딸이 사회구성원으로서 묵묵히 자기 자리를 지키는 아들과 딸,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사명감을 최우선으로 하는 아들, 해외에서 자기 역할을 훌륭히 해내는 아들 등... 적어도 우리 부모님께서 자신의 모든것을 바쳐 키워낸 아들딸들이 똑바로 살아가고 있으며, 부모님을 많이많이 사랑하는 그런 아들딸임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서두가 너무 길었습니다.. 짧게 말씀드리면, 저는 농업토목 엔지니어로서 품질경영 전문가, 전사 자원계획수립 참여, 농어촌지역의 인프라시설 관련 최고가 되고자 돈키호테처럼 살아온 사람입니다.. 부디 본 위원회의 기본원칙과 관련하여 1. 훌륭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 하지만 실행해 가며 변경이 필요하면 시행착오를 솔직히 인정하고 의견을 청취하여 방향을 수정하고, 실행해 나아 가시길 바랍니다.. 2. 공공데이터의 전면개방을 목표로 하시는 것에 동의하지만 사용자의 수준에 맞춰 단계별로 가는것을 고려해 주세요.. 3. 인공지능. 데이터기반 정책결정을 과학화 한다는 부분은 너무 현실과 다른거 같습니다.. 적어도 중간단계가 여러개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상으로 첫 글을 마칠까 합니다... 이장로국장님.. 제가 경험한 가장 훌륭한 공무원중 한분으로 기억합니다.. 건승을 기원합니다..
11-29 291